| [ㅇ] 열선 점화 (Hot Wire Ignition) |
열선 점화, HWI는 일정 수준의 전기 에너지를 발산하는 저항선(resistance wire)으로 감싼 표준 시편을 점화하는 데 걸리는 시간(초)이다. |
| [ㅇ] 열안정성 (thermal stability) |
열이 가해지는 환경하에서 재료가 분해되지 않으려고 저항하는 성질이다. |
| [ㅇ] 열처리 (annealing) |
일정한 온도로 가열한 다음 일정한 속도로 냉각하는 것을 열처리라고 한다. 예를 들어, 열처리를 하면 성형시 발생하는(moulded-in) 응력이 감소한다. 열처리된 시험편의 HDT 값을 측정하는 경우도 있다. |
| [ㅇ] 용융 거동 (melting behaviour) |
열의 영향을 받아 재료가 부드러워지는 특성을 동반하는 현상으로 융용된 재료의 수축, 떨어짐(dripping) 및 연소가 포함된다. 융용 적하란 타거나 타지 않거나 간에 융용된 재료가 물방울처럼 떨어지는 것이다. |
| [ㅇ] 용융 열 (heat of fusion) |
용융 범위s s s s Hf를 통과하는 데 필요한 열량 |
| [ㅇ] 용융 온도 (melt temperature) |
용융 온도(Tm)는 특정 조건에서 측정되며 부분결정성 고분자에서 결정도가 소멸하는 온도다. 부분결정성 고분자는 명확하게 정의된 용융 온도를 가지고 있다. 비결정성 재료는 유리 전이 온도를 초과하는 광범위한 온도 범위에 걸쳐 연화된다. 비결정성 재료는 특정 Tm은 없으나 용융 범위는 존재한다. |
| [ㅇ] 유리 전이 온도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
유리 전이는 비결정성 고분자(또는 부분적으로 결정성인 고분자의 비결정성 영역)가 점성(viscous) 또는 고무 상태(rubbery condition)에서 단단하고 비교적 취약한 상태로 역변하는 것을 말한다. 유리 전이 온도 즉, Tg는 유리 전이가 발생하는 온도이다. |
| [ㅇ] 응력 균열 (stress cracking) |
응력 균열이란 내부적인 물질 응력으로 인해 플라스틱의 내부 또는 외부 균열이다. 이러한 균열은 플라스틱이 노출되어 있는 환경에 의해 가속화되기도 한다. |
| [ㅇ] 응력 및 변형(률) (stress and strain) |
정상 응력(normal stress)은 본래의 단면적에 가해진 하중의 비율이다. 즉 하중을 면적으로 나눈 것이다. 변형은 물체의 선형적인 크기 또는 모양이 어떤 힘으로 인하여 본래의 크기와 모양에 비해 바뀐 것이다. 정상 변형 또는 신장률은 가해진 하중 (응력)때문에 발생한 재료의 변형을 측정하는 단위이다. 변형은 본래의 길이로 나눈 길이의 변화이며, 변형률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발생한변형의 변화율이다. 응력 변형률 곡선은 응력과 변형의 대응값이 서로 대응하여 배열되어 있는 선도(diagram)을 뜻한다. 응력은 세로 좌표로 변형은 가로 좌표로 나타낸다. 이 곡선은 인장 강도, 신장률 및 인장 계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
| [ㅇ] 이동 (migration) |
첨가제가 플라스틱에서 다른 접촉 재료로 확산 및 침투하는 것 |
| [ㅇ] 이형 용이 (easy release) |
윤활제는 가공을 용이하게 하거나 끈적거리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플라스틱 성형과정에서 소량 첨가되는 물질이다. 이 물질을 사용하면 성형 중에 재료의 유동성을 증가시키거나 성형된 부분을 금형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 효과를 '이형 용이(easy release)'라고 부른다. |
| [ㅇ] 이형제 (release agent) |
금형에서 성형 제품을 쉽게 떼내기 위해 성형할 재료에 첨가하거나 금형에 바르는 물질 |
| [ㅇ] 인장 강도 (tensile strength) |
플라스틱을 정해진 양 만큼 신장시키는 데 필요한 힘의 크기이다. 이 값이 클수록 재료는 강하다. 장력 상태에 있는 재료가 파괴될 때까지 견딜 수 있는 최대 응력이기도 하다. 항복점에서 최대 응력이 발생되면 이것을 항복점의 인장 강도라고 부른다. 파괴점에서의 최대 응력은 파괴점의 인장 응력이다 |
| [ㅇ] 인화성 (flammability) |
■ 인화성 : 점화한 후 재료가 불꽃을 내며 계속 타는 능력. 시험 방법은 특정 조건 하에서 연소성, 연기 생성 및 점화 온도를 측정한다. ■ 가연성: 특정 시험 조건하에서 불꽃을 내며 탈수 있는 성질 ■ 난연성: 특정 시험 조건하에서 불꽃을 내며 탈수 없는 성질 ■ 비인화성(Inflammability) 및 비인화성의(inflammabl)라는 용어는 오해할 수 있는 위험이 있기 때문에 권장하지 않는다. |
| [ㅈ] 작업 응력 (working stress) |
부품을 설계할 때 설계 응력 값은 항상 재료의 탄성 한계값 이하이어야 한다. 즉, 그 부품의 탄성 거동을 관측함으로써, 최초 설계 단계에서 고려하지 않은 심한 변형을 피할 수 있다. 설계 응력을 최대 작업 응력이라고 말한다. 이는 재료가 갖고 있는 큰 힘을 안전 인자로 나눈 값이다. 유연한 재료의 경우 재료의 강도는 항복 응력과 같다. 부서지기 쉬운 재료의 경우 재료의 강도는 최종 강도이다.(항복 응력이 없기 때문이다.) |
| [ㅈ] 적용품 /품목 /구성 요소/ 부품 (application /article /component / part) |
|
| [ㅈ] 전기적 침식 (electrical erosion) |
|
| [ㅈ] 전단 응력 (shear stress) |
주어진 구조(geometry)를 통해 일정한 유속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압력을 측정하는 단위를 말한다. 전단 응력은 그 최초 작동 영역에 대해 평행하는 힘을 이 영역에 있는 측정 시편의 단면적으로 나눈 것이다. 전단 강도는 전단 시험 중에 시편이 나타내는 최대 전단 응력을 말한다. |
| [ㅈ] 전단 탄성률 (shear modulus) |
강성 G의 전단 탄성률 또는 탄성률은 전단 응력을 전단 변형(률)로 나눈 것이다. 탄성률과 유사하다. |
| [ㅈ] 전단율 (shear rate) |
융용된 고분자의 변형률의 척도. 고분자가 흐르는 유속 및 구조에서 계산한다. 또는 전단 응력의 변화 시간 속도를 일컫기도 한다.
■ 고 전단율 공정 : 사출 성형 및 압출. 사출 성형에서 주어진 사출 속도로 게이트 반경을 감소시키면 전단율이 증가한다. 런너와 입구에서 전단율이 가장 높다. ■ 저 전단율 공정 : 압축 성형 및 압출 블로우 성형 |
| [ㅈ] 절연 저항 (insulation resistance) |
플라스틱 절연체의 총 저항. 이 저항에는 용적 비저항과 표면 비저항이 있다. |
| [ㅈ] 절연력 (dielectric strength) |
재료의 절연체로서의 전기적 힘을 측정한 것. 절연력은 직류 전압으로 인해 그 전압에서 시험편을 통하여 계속적인 아크 형식으로 유전 실패 즉, 유전 파괴가 발생한다. 시편이 얇을 수록 절연력이 높다고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두께가 없이 절연력만 명기하는 것은 불충분하다. |
| [ㅈ] 점도, MFR / MFI, MVI 및 MV |
점도(viscosity), MFR(Melt Flow Rate) / MFI(Melt Flow Index), MVI(Melt Volume Index) 및 MV(Melt Viscosity)
■ 점도는 재료의 내부에서 나타나는 안정적 흐름에 대한 저항이다. 이는 내부적 마찰이다. 또는 흐름에 대한 고분자의 용융 저항에 대한 측정값이다. 시험에서는 액체의 전단률에 대한 전단 응력의 비율이다. 뉴토니언(Newtonian) 점도에 따르면 전단 변형률에 대한 전단 응력의 비율은 일정하다. 플라스틱에 흔한 경우인 비뉴토니언 거동은 비율이 일정하지 않고 전단 응력에 따라 변한다. 때로는 이러한 비율은 대응하는 전단 응력에서 겉보기 점도라 부르기도 한다. 이 점도는 흐름 곡선에서 1 포인트를 나타낸다. ■ MFR 즉, 용융 흐름 속도(Melt Flow Rate)란 특정한 조건 하에서 정해진 오리피스(orifice)를 통하여 주어진 시간 안에 압출된 열가소성 플라스틱 재료의 질량이며, 흐름 속도(flow rate)라고도 한다. MFI 또는 용융 흐름 지수(Melt Flow Index)라는 표현은 MFR과 같다. ■ MVR 또는 용융 부피 지수(Melt Volume Index)는 특정한 조건에 준하여 특정한 시간 동안에 오리피스를 통하여 압출되는 플라스틱의 부피이다. MVI 또는 용융 부피 지수라는 표현은 MVR과 같다. ■ MV 또는 용융 점도(Melt Viscosity)는 분자 사슬이 서로 연관되어 움직일 수 있는 주어진 온도에서의 고분자 측정 값이다. 이는 참 전단 응력 지수 τ로 표현되며 참전단률 j로 표현된다. 용융 점도는 분자량에 현저하게 의존한다. 즉, 분자량이 높을수록 엉킴이 많으며 용융 점도가 높다. |
| [ㅈ] 점탄성 (viscoelasticity) |
응력이 가해졌을 때 점성과 탄성의 거동을 함께 보이는 재료를 점탄성이 있다고 한다. |